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인터스텔라는 그동안 SF 영화에서 보기 드문 과학적 정확성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작품입니다. 인터스텔라는 웜홀, 블랙홀, 중력 시간 지연, 그리고 다차원 공간 등 복잡한 이론 물리학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특히 블랙홀 장면은 영화 역사상 가장 정교하게 재현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극적 효과와 흥미로운 전개를 위해 다소 비현실적인 설정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과학적 오류와 실제 과학적 사실을 비교하며 설명하겠습니다.
1. 블랙홀 주변에서의 시간 지연 효과
영화 속 설정: 주인공 쿠퍼와 그의 팀은 블랙홀 ‘가르강튀아’ 근처에 위치한 밀러 행성에 착륙합니다. 이 행성은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 때문에 시간이 극도로 느리게 흘러, 밀러 행성에서 1시간이 지구에서는 약 7년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을 일으킵니다. 과학적 오류와 설명: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강력한 중력장 가까이 있을수록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밀러 행성에서 나타난 정도의 시간 지연이 가능하려면 행성은 블랙홀에 매우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가까운 위치에 있을 경우, 행성 자체가 블랙홀의 엄청난 조석력(중력 차이로 인한 인력)으로 인해 붕괴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영화에서 보이는 거대한 파도 장면도 블랙홀의 조석력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즉, 시간 지연 효과 자체는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행성이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하며 그 정도의 시간 지연을 경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2. 웜홀을 이용한 다른 은하로의 이동
영화 속 설정: 인류는 토성 근처에 위치한 웜홀을 통해 다른 은하로 이동합니다. 이 웜홀은 인류를 구하기 위한 미지의 지적 존재가 만들어 놓은 것으로, 이를 통해 주인공은 가르강튀아가 있는 새로운 은하로 진입합니다. 과학적 오류와 설명: 웜홀은 이론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실제로 관측된 적은 없습니다. 또한 웜홀이 존재한다고 해도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통과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없습니다. 웜홀을 통해 이동하려면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도 이론적으로만 제안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토성 근처의 웜홀을 인류가 이용한다는 설정은 현재 과학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하며, 허구에 가깝습니다.
3. 블랙홀 내부와 다차원 공간의 시각화
영화 속 설정: 쿠퍼는 블랙홀 내부의 특이점으로 빨려 들어간 후, 차원의 방(Tesseract)이라는 다차원 공간에 도착합니다. 이곳에서 그는 과거의 특정 시점으로 접근해 딸 머피에게 신호를 보내려고 시도합니다. 과학적 오류와 설명: 블랙홀의 중심에는 밀도가 무한대로 증가하는 특이점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특이점에 접근하게 되면 엄청난 중력에 의해 몸이 원자 단위로 분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영화처럼 블랙홀 내부에서 안전하게 살아남고, 더 나아가 다차원 공간에 도달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영화 속 쿠퍼가 머무르는 차원의 방에서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모습은 영화적 상상력에 가깝습니다.
4. 인류의 감정이 중력을 초월하는 힘이라는 설정
영화 속 설정: 영화 후반부에서는 사랑과 같은 인간의 감정이 물리적 힘, 특히 중력처럼 차원과 시간을 초월할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쿠퍼는 이 설정을 바탕으로 딸 머피와의 감정적 연결을 통해 신호를 보내려 합니다. 과학적 오류와 설명: 물리적 상호작용과 별개로 인간의 감정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힘이라는 설정에는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중력은 엄격한 물리적 법칙에 따라 존재하는 힘이며, 인간의 감정은 중력과 같은 물리적 현상을 통제하거나 넘어서지 못합니다. 이 설정은 과학적 사실보다는 감정적인 몰입을 돕기 위한 영화적 장치로 보입니다.
5. 차원의 방에서 시간의 가시화
영화 속 설정: 쿠퍼는 차원의 방에서 시간 자체가 공간처럼 물리적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경험합니다. 그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관찰하고, 그 시간을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딸 머피에게 메시지를 보내려고 합니다. 과학적 오류와 설명: 현재의 과학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물리적으로 ‘공간’처럼 다루거나 조작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시간은 네 번째 차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긴 하지만, 공간처럼 고정되거나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영향을 주거나 물리적으로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는 영화에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를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며, 현실적으로는 비현실적인 설정입니다.
결론: 과학과 상상의 경계
인터스텔라는 과학적 사실과 영화적 상상력이 절묘하게 결합된 작품입니다. 블랙홀, 웜홀, 시간 지연 등 이론적으로 설명 가능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매우 신선한 SF 영화로 자리 잡았으나, 극적 효과를 위해 비현실적인 설정이 가미된 부분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대중들이 물리학과 우주의 신비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가지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